티스토리 뷰

공부방

[Git] Git 브랜치 생성하기 - git bash

아이캔두이 2021. 11. 16. 21:42
728x90
반응형

 

요즘 회사에서 자주 했던 Git 브런치 만들기에 대해 적어 보려고 합니다.

보통 ide나 github를 통해서 생성할 수 있지만, 저는 git bash에서 생성해 주어야 했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항상 하는 것이어도 금방 까먹어서 적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브랜치를 생성할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하여 프로젝트 폴더를 클릭한 후 우클릭하여 Git Bash로 들어갑니다.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Git Bash 창이 나타납니다.

현재는 master 브랜치로 되어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내가 위치한 브랜치를 알려줍니다.

git branch

 

 

원격 저장소에 저장된 브랜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r을 붙여줍니다.

마스터만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r

 

 

 

그냥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의 차이가 무엇일까?

두 명령어의 차이를 보면 master, origin/master 이렇게 두 개로 나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ster는 내 로컬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github에 있는 repository를 내 로컬로 복사하였으니, 내 로컬에서의 master 인 것입니다.
origin/master는 github 상의 master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 알아보면, master 브랜치에서 commit을 하면 github 상에서는 반영되지 않습니다. 즉, origin/master에는 반영되지 않는 것이지요.
하지만 push까지 하게 되면 내 master에 있는 변경사항이 origin/master에까지 반영이 되어 github 상에서도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브랜치를 생성하는 건 간단합니다.

다음 명령어만 입력하면 됩니다.

git branch [브랜치명]

 

 

브랜치를 생성하고 checkout 명령어를 입력해서 생성한 브랜치로 이동해 줍니다.

git checkout [브랜치명]

 

 

 

브랜치가 잘 이동되었습니다.

생성한 브랜치를 remote branch에도 생성해 주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준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local에 생성된 브랜치를 Git으로 올려주도록 합시다.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이제 local의 branch를 retmoe branch와 연동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branch 연동은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브랜치명]

 

위와 같이 입력하였다면 내 브랜치가 origin/브랜치가 된 것입니다.

git branch -r을 입력하고 빨간 글씨처럼 origin/[브랜치명] 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헷갈릴 때마다 다시 와서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