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초기 웹 프로그램은 서블릿을 이용하여 구현했다고 한다.

그런데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화면의 기능이나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용자를 고려하는 화면 요구사항도 점점 늘어났다.

그래서 현재는 프로그래머가 서블릿으로 화면을 구현하지 않고 웹 디자이너가 화면을 담당하게 된다.

자바 코드는 디자이너에게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블릿의 기능 중 별도로 화면 기능을 디자이너가 작업하기 쉽게 하기 위해 JSP(Java Server Page)가 등장했다.

 

 

 

 

 


 

JSP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화면의 수월한 기능 구현과 개발 후 화면의 편리한 유지관리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기존 서블릿은 자바 코드를 기반으로 문자열을 사용해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화면을 구현했으나

JSP는 이와는 반대로 HTML,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JSP 요소들을 사용해 화면을 구현한다.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분리함으로써 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하고, 디자이너는 화면 기능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개발 후 재사용성과 유지보수 또한 훨씬 수월해졌다.

 

JSP의 구성 요소를 먼저 알아보자.

 

  • HTML 태그, CSS, 자바스크립트 코드
  • JSP 기본 태그
  • JSP 액션 태그
  • 개발자가 직접 만들거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커스텀(custom) 태그

 

 

 

 

JSP 파일은 그 자체를 브라우저로 전송하면 브라우저는 JSP 요소들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JSP는 톰캣 컨테이너에 의해 브라우저로 전송되기 전에 실행 단계를 거쳐야 한다.

 

톰캣 컨테이너에서 JSP파일을 변환하는 과정을 알아보자.

 

  1. 변환 단계(Translation Step) : 컨테이너는 JSP 파일을 자바 파일로 변환한다.
  2. 컴파일 단계(Compile Step) : 컨테이너는 변환된 자바 파일을 클래스 파일로 컴파일 한다.
  3. 실행 단계(Interpret Step) : 컨테이너는 class 파일을 실행하여 그 결과(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로 전송해 출력한다.

 

 

 

 

JSP의 동작원리를 알았으니 이번에는 JSP에서 HTML 태그와 같이 사용되는 여러가지 JSP 구성 요소들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 디렉티브 태그(Directive Tag)
  • 스크립트 요소(Scripting Element) : 주석문, 스크립트릿(Scriptlet), 표현식, 선언식
  • 표현 언어(Expression Language)
  • 내장 객체(내장 변수)
  • 액션 태그(Action Tag)
  • 커스텀 태그(Custom Tag)

 

 

 

디렉티브 태그는 주로 JSP 페이지에 대한 전반적인 설정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디렉티브 태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페이지 디렉티브 태그(Page Directive Tag) : JSP 페이지의 전반적인 정보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 인클루드  디렉티브 태그(Include Directive Tag) : 공통으로 사용하는 JSP 페이지를 다른 JSP 페이지에 추가할 때 사용한다.
  • 태그라이브  디렉티브 태그(Taglib Directive Tag) : 개발자나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태그를 사용할 때 사용한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JSP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상!

 

 

 


참고도서

 

  • 자바 웹을 다루는 기술(이병승 저)

 

 

728x90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