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scala의 기본 타입과 연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타입과 연산은 기존 다른 언어들에서도 비슷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보고 넘어가봅시다. 1. 기본 타입 정수적인 타입(integral type) : Byte, Short, Int, Long, Char 수 타입(numeric type) : Float, Double Boolean 타입 *스칼라는 scala와 java.lang 패키지 안에 있는 모든 맴버를 자동으로 임포트합니다. → 간단하게 Boolean, Char, String 만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2. 리터럴 리터럴은 보통 상수와 비교하여 정의됩니다. 공통점 변하지 않는 값(데이터)를 의미 상수란? 상수는 변하지 않는 변수를 뜻합니다. → 즉, 숫자만이 아닌 클래스, 구조체 등 기본형..

앞에까지 스칼라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장부터는 깊이 들어가서 파헤쳐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에서 첫 번째로 클래스와 객체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번 장에서는 클래스, 필드, 메서드를 살펴보고 싱글톤 객체에 대해서도 배울 것입니. 그리고 혹시나 잊었을까 봐 복습을 조금 해보자면, scala는 객체지향 + 함수형 + 정적타입을 갖춘 언어입니다. 모든 함수가 1급 계층 값이 됩니다. *1급 계층 : 일반적인 값(정수, 문자열 등)과 큰 차이가 없이 다룰 수 있는 값. 1. 클래스, 필드, 메서드 클래스는 객체에 대한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를 정의하고 나면, 그 청사진으로부터 new를 사용해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클래스 정의 안에는 필드와 메서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이 ..

이번에는 클래스와 객체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고,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위한 초석이니 집중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새로운 용어가 많이 등장합니다. 이 용어를 정의하면서 개념을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 객체란?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입니다. 예를 들면 사람, 자동차, 건물 등이 있습니다. 즉, 눈에 보이는 사물은 모두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자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 OOP)이란?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래밍입니다. → 어떤 대상(객체)를 가지고 프로그래밍 하는 것입니다. → 객체를 먼저 정의하고 각 객체가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 클래스란?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코..